착한운전마일리지 신청 안하면 손해인 이유… 갱신 방법은?
운전하는 사람이라면 모르면 안 되는 것들이 있죠. 모르면 나만 손해인 것들! 대표적인 게 착한운전마일리지 제도입니다.
이건 신청하는 데 돈이 드는 것도 아니고 자격요건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해놓으면 무조건 이익인 제도인데요. 혹시 아직도 안 하신 분이 계시다면 이 포스팅 쭉 한번에 읽으시고 바로 신청 가실게요.
착한운전마일리지 제도 뜻
착한운전 마일리지 제도는 신청 접수날로부터 1년간 무위반-무사고 서약을 지키면 1년에 10점씩 마일리지를 부여해서 이후에 이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가령 당신이 마일리지 30점을 쌓았는데, 이후 교통 법규를 어겨서 면허정지에 해당하는 벌점 50점을 받았을 때 쌓아둔 마일리지 30점만큼 벌점을 차감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2013년 8월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운전면허증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요, 본인 차가 없어도 신청 가능합니다. 차를 구매하기 전에 미리 신청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네요. 왜냐하면 시간만 쌓이면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거니까요.
착한운전마일리지 신청 방법
착한운전 마일리지는 직접 경찰서에 방문해서 신청하는 방법과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방문 신청
운전면허증 또는 주민등록증을 지참하여 전국 경찰서 민원실 혹은 가까운 지구대에 방문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경찰서에 서약서가 비치돼 있는데 그 서약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면 접수됩니다.
2. 온라인 신청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또는 정부24에 접속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서약 내용을 보면 무위반-무사고 이렇게 두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무위반은 서약 기간 동안에 운전면허의 취소-정지처분, 과태료 처분을 받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무사고는 서약기간 중 사람을 사망 또는 상해에 이르게 하는 교통사고를 내지 않아야 함을 뜻합니다.
무위반과 무사고 둘 다 1년 동안 지켜야지만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착한운전마일리지 과태료 면제
많은 분들이 신호위반이나 속도위반 이런 거 해서 물게 된 과태료 혹은 범칙금을 착한운전 마일리지로 공제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데요. 결론은, 과태료 공제는 안됩니다.
착한운전마일리지는 벌점을 공제해주는 제도이므로, 과태료 및 범칙금은 해당이 안 됩니다. 단, 벌점이 쌓여서 벌금을 내야하는 경우는 벌점이 공제가 되니까 벌금 경감에도 도움이 되겠지요.
착한운전마일리지 서약 위반 시 재서약
만일 1년간 서약 내용을 지키지 못한 경우에는 위반한 그 다음날부터 다시 서약서를 접수할 수 있어요. 한마디로 사고를 냈어도, 그 다음날 바로 재서약을 할 수 있으며 재서약은 횟수 제한 없이 가능합니다.
무사고와 무위반 서약을 1년간 지킨 운전자에게는 운전면허 특혜점수, 즉 마일리지가 1년이 되는 날의 바로 다음날 부여됩니다. 부여받으면 바로 사용 가능하고요.
착한운전마일리지 갱신 방법
1년 동안 무위반, 무사고 서약을 지키면 따로 재서약 신청을 할 필요 없이 자동 갱신됩니다. 1년 마다 마일리지는 10점씩 계속 누적되고, 벌점 공제에 마일리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계속 쌓여서 유지됩니다.
착한운전 마일리지 자동 감면은 불가
내가 착한운전마일리지가 쌓여 있다고 해서 벌점 감면이 알아서 자동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걸 모르시고 어떠한 조치도 없이 가만히 계시면 감면 못받습니다. 본인이 직접 “마일리지를 써서 벌점 공제를 받겠다” 하고 공제 신청을 해야만 감면이 됩니다.
경찰서에 직접 방문하거나 위에서 말씀드린 이파인 혹은 정부24에 가서 공제 신청을 해야합니다.
착한운전마일리지 단점
이 제도 자체에 단점이 있을 건 없는데요, 온라인으로 신청할 때 본인인증 과정이 저는 번거로웠어요.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로 인증하거나 간편인증을 하면 되는데요. 저는 간편인증을 선택하고, 그 중 카톡인증하기를 골랐어요. 근데 이것도 바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더라고요.
카톡 등으로 간편인증을 하려면 거기서 제시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해요. 이파인이랑 정부24 둘 다 마찬가지고요, 인증하기 눌리면 다운로드 4개 파일을 안내하거든요. 4개를 전부 다운받아서 그걸 컴퓨터에서 하나씩 설치해줬어요. 그러니까 카톡인증이 되더라고요.
카톡인증 하나 하는 데 이렇게 번거롭기는 처음이네요. 저는 이게 착한운전마일리지 제도의 단점이라고 생각해요.
착한운전마일리지 조회 확인
내 마일리지가 얼마나 쌓여 있는지 조회하고 싶으시다면, 아까 말씀드린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혹은 정부24에 접속하셔서 착한 운전마일리지 메뉴로 가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공동인증서 혹은 간편인증으로 로그인을 하셔야 조회 가능합니다.
착한운전마일리지 꼭 해야하는 이유
사실 이 제도는 안 할 이유가 없는 제도입니다. 사고라는 게 나만 조심한다고 안 나는 것도 아니고, 아무리 안전운전을 해도 사고는 날 수 있는 거죠. 사람인지라 자신도 모르게 위반도 실수로 할 수 있고요.
그럴 때 마일리지 쌓아둔 걸로 벌점을 제거할 수 있으면 벌금 등 금전적 손실도 막을 수 있고 여러모로 도움되는 제도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심리적으로도, 이 마일리지를 받기 위해 서약을 지키려는 의지, 더 안전운전을 하려는 의지가 생길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니 주저하지 마시고, 안 하면 손해인 착한운전마일리지 꼭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