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화플러그 증상-교체주기-점화코일 종류… 비용 생각보다 비싸네요

점화플러그 증상-교체주기-점화코일 종류… 비용 생각보다 비싸네요

계기판에 주황색 엔진 경고등이 떴나요? 몇 가지 원인이 있지만, 가장 가능성이 높은 건 점화플러그 이상입니다. 점화플러그가 노후화되거나 고장나면 이렇게 경고등이 뜨고 심하면 시동이 안 걸릴 수 있어요.

점화플러그는 경유 차량에는 없고요, 휘발유와 LPG 차량에만 있습니다. 엔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품이고,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하는 소모성 부품이니까 이참에 한번 알아두시지요.

점화플러그 역할

자동차 엔진이 작동을 하려면 엔진에 전기불꽃과 같은 폭발을 발생시켜서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만들어내야 합니다. 그러면 부릉~하고 시동이 걸리죠. 이 폭발을 만들어내는 게 바로 점화플러그입니다.

휘발유는 발화점이 높은 연료이기 때문에 스스로 불을 발생시키는 것이 어려워요. 그래서 점화플러그를 이용해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거지요. 점화플러그로 엔진에 불을 점화시켜주면 가스가 피스톤을 밀어내면서 엔진의 출력이 발생합니다.

점화플러그 코일 역할

점화플러그 코일 혹은 점화코일이라고 부릅니다.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은 둘다 엔진룸 안에 있지만 부품은 별개입니다. 점화코일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2V의 전압을 수만볼트 고전압으로 증폭시켜서 점화플러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엔진룸 커버를 열어보면 똑같이 생긴 부품 여러 개가 하나의 실린더에 케이블로 연결된 게 보일 건데요, 이게 점화코일입니다. 점화코일을 분리하면 그 안에 점화플러그가 들어있는 구조입니다.

점화코일과 점화플러그 각각 사진으로 보여드릴게요.

점화플러그 점화코일 코일 교체시기 증상 비용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점화코일 증상 교체시기 교체주기 비용 가격
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 증상

점화플러그에 이상이 생기면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동 안걸림
보통 때는 바로 걸리던 시동이, 점화플러그에 이상이 생기면 푸드득 하는 소리만 들릴 뿐 안 걸릴 수 있습니다.

2. 점화플러그 경고등
포스팅 맨 처음 말씀드렸듯이 계기판에 주황색 엔진경고등이 뜨는데 이게 점화플러그 경고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3. 차량 떨림-덜덜덜 소음 발생
덜덜덜 하는 소음이 발생하면서 엔진이 달달 떨린다면 점화플러그 이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시동은 걸리지만 이렇게 차량 떨림과 소음이 발생한다면, 언제 시동 불능이 될지 모르니 가까운 정비소 가셔서 점화플러그를 점검하시는 게 좋습니다.

점화플러그 교체 안하면

1. 엔진 성능 저하
점화플러그 교체 안하면 출력이 저하됩니다. 엑셀을 밟아도 차가 빠르게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이 안들고 속도가 안 납니다. 이건 출력이 저하돼서 그런 건데요, 점화플러그를 제때 교체해주지 않으면 이런 일이 발생합니다. 오르막길 올라갈 때 차가 식은땀을 흘립니다.

2. 연비 저하
점화플러그 교체 안하면 연비도 떨어집니다. 연료가 연소되어 에너지를 발생시켜야 하는데 점화플러그에 문제가 생기면 이게 안 되기 때문에 연비 저하로 나타나는 거죠.

3. 배기가스 과다배출
눈에 보이는 증상도 있습니다. 교체 안하면 검은색에 가까운 어두운 배기가스가 배출됩니다.

자동차명장의 점화플러그 교체팁(유튜브)

점화플러그 종류

점화플러그는 전극의 소재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이며, 셀프로 교체하시는 분들은 본인의 차량에 맞는 점화플러그를 잘 보고 구입하셔야 합니다.

1. 일반 점화플러그(니켈 플러그)
가장 일반적인 점화플러그는 니켈합금 소재를 사용합니다. 일부 재질이 구리로 되어 있어 구리 플러그라고도 부르고, 니켈 플러그라고도 부릅니다. 최근에는 점점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고, 아래 나오는 두 개를 요즘은 가장 많이 씁니다.

2. 백금 점화플러그
일반 점화플러그가 스파크가 일어나는 발화 부 간극에 아무런 코팅을 하지 않은 거라면, 백금 플러그는 간극에 백금코팅을 한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간극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요. 또, 백금 플러그는 일반 플러그에 비해 수명이 긴데요. 예전에는 고급 승용차에만 사용됐지만 최근엔 소형차에도 많이 넣습니다.

3. 이리듐 점화플러그
가장 고급입니다. 간극 재질이 이리듐인 플러그로, 일반플러그와 백금플러그보다 수명이 길고 오염도 없어 성능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고급 승용차에 많이 사용됩니다.

본인 차량이 어떤 점화플러그 종류를 탑재하는지 인터넷에 차량 모델명을 검색하거나 본인의 자동차 제작사에 문의해서 순정품 품번을 잘 알아보셔야 해요. 물론, 셀프 교체가 아니고 정비소나 공업사 가시는 거면 그곳에서 알아서 교체해줍니다.

만일 지정된 점화플러그 외에 실수로 다른 종류를 넣으시면 엔진이 손상될 수 있어요.

점화플러그 교체비용

일단 4기통 엔진이면 점화플러그 4개와 점화코일 4개를 교체해야 하고요, 6기통 엔진이면 점화플러그 6개와 점화코일 6개를 교체해야 합니다. 갯수로 인한 가격차이가 있는 거죠.

평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4기통인 차량이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을 모두 교체하면 25~80만원 사이로 비용이 듭니다. 6기통은 그 이상이죠.

또한, 위에서 말한 점화플러그 종류에 따라 가격이 다르고, 차량의 모델에 따라서, 정비소에 따라서도 부품비와 공임비가 다릅니다. 좀 이따가 설명드리겠지만,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 교체주기 또한 다르기 때문에 따로 교체하시는 분들을 위해 각각의 가격도 알려드릴게요.

점화플러그 가격

4기통 국산차 기준 공임비 포함해서 15~20만원, 6기통 국산차는 25~30만원 예상합니다.

1. 일반 점화플러그: 개당 3천원 ~ 7천원
2. 백금 점화플러그: 개당 1만원 ~ 1만 5천원
3. 이리듐 점화플러그: 개당 2만원 ~ 2만5천원

점화코일 가격

점화코일은 평균 한 개당 5만원에서 15만원 사이입니다.

점화플러그 교체비용 교체주기 증상 점화코일 가격
점화플러그 쿠팡 1위 상품(클릭 시 연결)

점화플러그 교체주기

끝으로,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인 교체주기를 각각 알려드릴게요. 일단 둘다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건 공통점입니다.

먼저 점화플러그 교체시기는 일반 플러그는 3만~5만Km 마다, 백금 플러그는 대략 8~10km 마다, 이리듐 플러그는 13만~16만km 마다 교체해주면 됩니다. 이리듐이 확실히 수명이 길고 좋네요.

참고로 점화플러그 수명은 그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운전자의 운전습관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해요. 평소 급제동, 급출발하면 교체주기가 짧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점화코일 교체주기

점화코일 역시 교체시기는 차량마다 다르지만 평균 10만~16만km 사이에 교체합니다. 점화플러그에 비해 교체주기가 길죠. 보통 요즘은 일반 플러그보다 백금이나 이리듐 플러그를 쓰니까 얼추 점화코일 교체주기와 맞아떨어지네요. 한번 손볼 때 같이 바꿔주면 베스트겠습니다.

같이 보면 도움되는 운전정보

지금까지 점화플러그 증상, 교체주기, 비용, 그리고 시기 지나도 교체 안하면 어떤 낭패를 보는지까지 자세히 알아봤는데요. 엔진은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인데 이 엔진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부품인 만큼 점화플러그를 교체주기 맞춰 잘 갈아줘야 겠습니다.

점화플러그와 더불어 엔진과 연관된 증상 및 관리에 대해 제가 쓴 포스팅 아래에 붙이겠습니다. 같이 읽으시면 도움되실 거예요!

점화플러그 소켓 구매 시 주의점... 토크 렌치 없을 때 그냥 해도 될까

점화플러그 점화코인 증상 비용 교체주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thoughts on “점화플러그 증상-교체주기-점화코일 종류… 비용 생각보다 비싸네요”

  1. 사장님의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제차는 2007년 벤틀리 플라잉스퍼 입니다.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을 전체적으로 교환을 해야합니다.바로 구매 가능한지요? 금액은요?부탁드립니다.010. 7775. 2431. 김형구 입니다

    응답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