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퓨즈 교체 방법… 빼는법-단선확인까지 초간단 셀프정비

자동차 퓨즈 교체 방법… 빼는법-단선확인까지 초간단 셀프정비

자동차를 몰다보면 갑자기 와이퍼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안하거나 멀쩡하던 전조등, 깜빡이, 충전잭 등이 먹통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땐 와이퍼 그 자체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자동차 퓨즈가 단선 되거나 고장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동차 퓨즈만 간단히 교체해줘도 정상작동 하는 거죠.

자동차 퓨즈란

퓨즈 혹은 어떤 이들은 휴즈라고도 부르죠(마치 파이팅 화이팅).

자동차 퓨즈 Fuse란 한마디로 전기 두꺼비집입니다. 자동차에 과전류가 흐를 때 전기장치들이 손상되거나 화재가 나지 않게끔 보호하는 차원에서 전원 공급을 차단해주는 작은 칩을 퓨즈라고 합니다.

자동차 안에는 수많은 전자제품들이 있잖아요. 전조등, 에어컨, 히터, 와이퍼, 내비게이션, 방향지시등처럼요. 이 전기장치들 모두 퓨즈와 연결돼 있습니다.

전조등을 예로 들면, 전조등 전구에 이상이 생기면 1개만 불이 나가는 게 보통인데요. 어느날 전구 2개가 동시에 불이 안 들어온다면 그건 전구 고장이 아니고 퓨즈 연결 문제일 가능성이 큰 거죠.

퓨즈는 작은 플라스틱 칩이어서 되게 별 거 아닌 부품처럼 보이지만 전기장치들을 통제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퓨즈에 문제가 있는데도 만일 교체하지 않으면, 전체 회로가 타버릴 수 있어요. 이렇게 되면 전체 회로 교체 비용이 훨씬 많이 나옵니다.

자동차 퓨즈 단선 확인 방법

원래는 퓨즈가 끊어지는 경우가 흔하지는 않아요. 그런데 요즘 사제 전자장치, 고전력 전자장치를 차 안에서 많이 사용하면서 과전류로 퓨즈가 끊어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어요. 실내등 같은 걸 교체하는 과정에서 뭔가를 잘못 건드려도 퓨즈가 끊어지고요.

퓨즈 단선 확인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퓨즈를 뽑아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검침기를 이용해서 퓨즈가 꼽혀 있는 상태 그대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검침기는 가정집에 잘 없잖아요. 그러니 육안으로 퓨즈를 확인하고 직접 교체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일단 아래 사진 보시면 퓨즈 가운데 곡선으로 된 쇠같은 게 있죠. 과전류가 흐르면 이게 끊어져요. 육안으로도 보입니다. 그러니 육안으로 이 연결선의 상태를 살핌으로써 퓨즈 단선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동차 퓨즈 교체 방법 비용 퓨즈박스 위치 종류

자동차 퓨즈 빼는법

자, 근데 육안으로 확인하려면 일단 퓨즈를 빼서 살펴봐야겠죠. 퓨즈를 뺄 때는 펜치나 드라이버 같은 쇠 성분의 공구를 사용하면 쇼트가 발생해 퓨즈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퓨즈 빼는 도구는 플라스틱 집게입니다. 이 글 맨 위에 있는 썸네일 보시면 하얀 거 저게 집게입니다.

엔진룸의 퓨즈박스 커버를 열어보면 거기 집게가 있어요. 쪽집게 또는 빨래집게처럼 생긴 집게가 기본으로 들어있는데 그걸로 퓨즈를 집은 다음 집게에 약간의 힘을 가해서 빼내면 퓨즈가 빠집니다. 그렇다면 일단 퓨즈는 어디에 위치 해 있는 걸까요?

자동차 퓨즈박스 위치

퓨즈는 퓨즈박스 안에 있습니다. 그럼 퓨즈박스는 어디 있을까요? 퓨즈박스 위치는 두 군데 입니다. 엔진룸과 운전석 대시보드 근처.

엔진룸 안에 있는 퓨즈박스에는 높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조등이나 에어컨과 연결된 퓨즈들이 들어있고요, 운전석 대시보드 하단에 위치한 퓨즈박스에는 비교적 적은 전력으로 돌아가는 오디오, 내비게이션, 실내조명 등과 연결된 퓨즈들이 들어있어요.

엔진룸은 자동차 본네트를 열면 되죠. 차종별로 엔진룸 내 퓨즈박스 위치는 살짝 다를 수 있는데, 대부분 보닛을 열면 맨 오른쪽에 네모박스 모양으로 퓨즈박스가 위치하고 있어요. 배터리 바로 위나 옆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퓨즈박스 여는 건 별도 공구 없이 손으로 뚜껑을 꾹 눌러서 올리거나 push라고 쓰여져 있는 부분을 누르면 열립니다.

자동차를 살 때 주는 자동차 취급설명서를 보면 퓨즈박스 위치부터 퓨즈를 어떻게 셀프로 교체하는지 그 방법도 잘 나와있어요.

자동차 퓨즈 교체 방법

1. 퓨즈 교체 시 반드시 시동을 꺼야 합니다. 안전상의 이유입니다. 배터리 음극 케이블도 분리하길 권장합니다.

2. 퓨즈 박스를 열어보면 퓨즈박스 뚜껑에 감사하게도 퓨즈 배열도가 붙여져 있습니다.

3. 그 배열도를 보고 문제가 있는 퓨즈를 알아냅니다.(만일 시거잭이면 시거잭 퓨즈 위치 파악)

4. 문제 퓨즈를 집게를 이용해 빼낸 후, 그 자리에 새 퓨즈(예비 퓨즈)를 끼워줍니다. 예비퓨즈는 차량에 여분으로 동봉돼 있습니다. 만일 다 써서 없으면 사면 되는데, 이따가 어디서 파는지도 알려드릴게요.

5. 새 퓨즈를 다시 끼울 때는 앞뒤 구분은 없고요, 손가락으로 힘을 가해 꾹 눌러서 끼워주면 됩니다. 단, 퓨즈 종류와 규격, 용량 같은 걸 잘 확인해서 자신의 차량에 맞는 걸로 교체해줘야 해요. 규격 등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게요.

6. 퓨즈를 교체했으면 퓨즈 박스를 닫고 시동을 걸어봅니다. 문제가 있던 전기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성공적으로 교체된 것입니다.

자동차 퓨즈 종류 및 규격 용량

1. 퓨즈 종류

퓨즈는 동일한 사양의 퓨즈로 교체해야 하는데요. 퓨즈 종류는 속단형과 지연형 이렇게 크게 2가지 입니다. 지연형 퓨즈는 속단형 또는 지연형으로 다 교체가 가능한데, 반대로 속단형은 속단형으로만 교체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런 종류를 알 필요는 없고요, 다음에 나오는 퓨즈 규격과 용량만 보셔도 됩니다. 참고로, 본인의 차가 어떤 종류의 퓨즈를 사용하는지 궁금하다면 자동차 취급설명서 혹은 퓨즈박스 뚜껑에 적힌 걸 보시면 됩니다.

2. 퓨즈 규격-용량

퓨즈 규격 및 용량은 퓨즈 칩의 색상과 숫자로 구별 가능합니다.

퓨즈 위에 적힌 숫자는 허용전류를 나타낸 암페어 수치이고, 퓨즈 색깔은 이 허용전류값에 맞춰서 편의상 색깔을 나눠놓은 것입니다. 일종의 약속인 거죠. 퓨즈 컬러에 따른 수치는 다음과 같아요.

빨간색 10A
파란색 15A
노란색 20A
하얀색 25A
초록색 30A

숫자가 클수록 흐르는 전류량이 큰 것입니다. 이밖에도 5A, 7.5A도 있습니다. 정해진 용량보다 높은 용량의 퓨즈를 끼면 과부하가 일어나서 화재 위험이 생기니까 기존 퓨즈랑 똑같은 걸로 잘 보고 구매하세요. 퓨즈박스 뚜껑에도 다 적혀있습니다.

퓨즈 셀프점검 유튜브 영상

자동차 퓨즈 교체비용

공업사에 가시면 퓨즈교체 비용으로 1만원 정도를 요구합니다. 하지만 꼭 공업사 갈 필요 없습니다. 퓨즈박스 안에 예비퓨즈가 보통은 10A, 15A, 20A 하나씩 들어있어서 그걸로 셀프로 교체하시면 되고, 예비퓨즈를 다 써서 없다면 시중에서 사서 교체하면 돼요.

당연히 하나씩 팔지는 않고요, 세트로 파는데 한 통에 6천원~1만원 정도 합니다. 한 통 사면 안에 양이 많이 들어있어서 평생 씁니다.

자동차 퓨즈 파는곳-다이소 등

자동차 퓨즈는 다이소에도 팔고요, 쿠팡 등 온라인 쇼핑몰에 다 팝니다. 엄청 많이 팔아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이미지 클릭)

자동차 산소센서 고장증상 교체비용

점화플러그 고장증상 교체비용 점화코일

브레이크패드 잔여량 확인법 교체비용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