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예열 안하면… 예열 시간- 방법- rpm… 후열 필요한가
자동차 시동 켜고 바로 운전하시나요? 자동차 수명을 위해 예열 후열은 필수죠.
오늘은 자동차 예열 후열이 왜 필요한지, 예열 시간, 방법 등을 모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자동차 예열 필요한가
사계절 모두 필요하지만 특히 겨울철에는 자동차 예열이 꼭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엔진오일은 온도가 낮을 때 특히 잘 가라앉는데, 가라앉은 오일을 예열을 통해 순환시켜 줘야지만 엔진이 덜 마모되기 때문입니다.
가라앉은 엔진오일이 시동을 걸면 엔진룸을 돌면서 기름칠을 해준닫고 생각하시면 돼요. 이런 준비운동이 없이 바로 주행을 하면 어떻게 되는지 다음에서 계속 말씀드릴게요.
자동차 예열 안하면
예열 안하고 바로 엑셀 밟고 운전을 시작하면 오일이 순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이 움직이는 거라서 마찰 저항이 심해져요.
그러면 엔진계통의 부품들, 즉 피스톤, 미션 등이 마모되고 손상되죠. 특히 터보 차저 차량, 디젤 차량은 예열에 더 신경써야 해요. 엔진은 자동차의 심장인데 예열 안하면 엔진 수명이 짧아집니다.
사람도 준비운동 안하고 겨울에 바로 나가서 뛰면 심장에 무리가 가잖아요. 예열 안하고 탄다고 당장 차가 어떻게 되지는 않지만 마모가 쌓이고 쌓이면 확실히 차에 좋지 않죠.
특히, 출력이 약해지고 연료도 불완전 연소가 될 수 있어서 점화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그리고 엔진 진동도 심해집니다.
자동차 예열 방법
방법이 특별히 있는 건 아니고, 시동을 켜고 나서 바로 운전하지 않고 가만히 기다려 주는 게 예열법입니다. 즉, 잠시 공회전을 하라는 거죠. 예열은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사람도 있고 rpm 수치를 보고 하는 사람도 있죠. 둘 다 알아볼게요.
자동차 예열 시간
예전 차량은 예열을 1분 이상 해줘야 했지만 요즘 차량은 그렇게 오래 할 필요가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30초~1분 정도만 하면 됩니다.
차량 제조사는 10~30초만 하라고 공식적으로 말하는데 30초~1분을 추천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1분 넘게 저는 예열 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사람마다 주장이 달라서, 겨울에도 20초 정도면 충분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자동차 예열 rpm
계기판의 rpm 수치가 1,000에 도달하면 예열이 알맞게 됐다 생각하고 운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RPM은 1분당 엔진 회전수를 뜻하는데요. 겨울에는 특히 처음 시동을 걸면 rpm이 2천 이상으로 높게 올라가는데, 예열을 충분히 해주면 점점 RPM이 낮아지면서 1천대로 떨어져요. 그러면 운행하면 됩니다.
자동차 예열 후열… 후열 필요한가
자동차 예열의 필요성은 모두가 인정하지만, 후열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반반입니다. 차량마다 다르다고 보시면 돼요.
만일 터보 차저 차량이면 후열을 해줘야 하고요. 터보가 아니면 후열을 안해줘도 괜찮습니다. 터보 차저가 장착되면 터번에서 높은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열을 식혀주는 시간이 필요한 거죠.
디젤 차량은 거의 터보 차저가 장착돼 있기 때문에 후열 해주세요.
후열 시간
후열 방법은 이렇습니다.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3분 전부터는 차량의 속도를 낮춰서 엔진 부하를 좀 줄여주세요.
목적지에 도착하고 주차를 한 후, 1분 가량 시동을 끄지 말고 기다렸다가 시동을 끄면 후열이 됩니다. 기억하기 쉽게 예열도 1분, 후열도 1분 이렇게 외우시면 좋겠습니다.
예열 후열 시 주의사항
차량 수명과 성능을 위해 예열 후열을 하지만 지나치면 독입니다. 오래 한다고 좋은 게 아니죠.
예열 후열 시간이 길어지면 공회전을 오래하게 되어서 배터리도 낭비될 수 있고, 환경오염도 됩니다. 공회전은 과태료도 있는 거 아시죠? 5만원 가량 과태료 부과되니까 기준에 맞게만 하세요.
공회전 허용 기준은 5-25도에서는 2분 허용, 0-5도, 25-30도에서는 5분 이내까지 허용입니다.
자동차 예열플러그
예열 플러그(preheating plug)란 온도가 낮을 때 출발 직전에 엔진 내부를 데우는 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예열플러그는 소모품이어서 교체주기가 되면 교환해줘야 하는데요. 보통 교체주기는 10만km에 한 번 교체 권장입니다. 자주 소모되는 부품은 아니어서 부담은 없지만 오래된 차량은 잘 점검하셔야 해요.
예열플러그에 대해서 제가 앞서 작성한 포스팅 아래에 붙여드릴게요.
오늘은 자동차 예열 후열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겨울에는 꼭 예열 후열 해주시고, 그냥 습관화해서 사계절 내내 1분 예열을 항상 해주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겨울엔 부동액 냉각수 잘 관리하셔야 하는 거 아시죠? 쿠팡에서 찾은 부동액 인기상품 링크 붙여드립니다. 직접 구매해서 공임나라 가져가서 공임비만 주고 교체하면 가장 저렴합니다.
겨울철 차량 관리 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