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시동 안걸릴때 시동거는법… 시동 안걸림 원인 12가지

자동차 시동 안걸릴때 시동거는법… 시동 안걸림 원인 12가지

날씨가 추워지면 특히 자동차 시동 안걸릴때가 가끔 있습니다. 이럴 때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시동 안걸림을 해결할 수 있고, 고장 정비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시동이 안 걸려도 너무 당황하지 마시고 원인을 일단 찾아보아요.

고장이 아닌데 시동 안걸리는 경우

1. 스마트키 부재 및 배터리 방전

차량 안에 스마트키가 있어도 가끔 인식이 안 될 때까 있습니다. 그러면 시동이 안 걸립니다. 저도 요즘 그런 경고가 떠서(차키가 있는데도) 어리둥절할 때가 있는데요.

이럴 때는 차키가 차량 내에 있는지 확인하셔야 하고요, 만일 있는데도 인식이 안 되면 스마트키 배터리가 다 돼서 그럴 수 있습니다.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는 공업사에 가실 필요없이 혼자서도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쓴 포스팅 아래에 붙일게요.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방법

2. 연료 부족

이건 자세히 쓸 것도 없겠죠? 연료가 바닥나면 시동이 안 걸리니 보험사를 불러 주유하시거나 전기차라면 충전하세요.

3. 변속기 위치 잘못 놓임

​자동차 고장이 아닌데 시동이 안 걸리는 대표적인 경우가 이것입니다. 나도 모르게 주차 후 변속기 기어를 P에 두는 걸 깜박하고 R 후진기어나 D 드라이브에 둔 채 그대로 시동을 끈 경우이죠. 이럴 땐 안전상 시동이 걸리지 않아요.(바로 차가 앞으로 나갈 테니까)

보기에는 기어가 P에 있어도 자세히 보면 애매하게 P와 R 사이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P로 바꾼 후 다시 시동을 걸면 걸립니다.

4. 브레이크 안 밟고 시동켰을 때

초보 운전자분들이 많이 하는 실수죠. 무조건 시동을 켤 때는 브레이크를 발로 밟고 시동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그냥 시동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안 걸립니다. 브레이크를 밟고 다시 걸어보세요.

혹시라도 페달을 못 밟는 상황인데 시동을 걸어야하는 응급 상황일 때는 시동버튼을 10초 이상 눌러주면 됩니다. 이건 사실 저도 몰랐는데 이번에 자료조사를 하면서 알게 됐어요.

5. 자동차 핸들 잠김

자동차 핸들을 좌우로 돌려도 돌아가지 않는 자동차 핸들 잠김이 돼 있으면 시동을 아무리 걸려고 해도 안 걸려요. 시동을 끄고 난 후 핸들을 돌리면 이렇게 잠금이 되는 거거든요.

핸들 잠김을 푸는 법은 아주 간단한데, 3초만에 푸는 법 유튜브 숏츠 영상 하나 붙여드릴게요.

핸들잠김 3초만에 푸는 법(쇼츠영상)

6. 냉각수 결빙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면 냉각수가 어는 경우가 있습니다. 핫팩 같은 걸 좀 갖다대면 녹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더 좋은 방법은 애초에 실내 주차를 하는 것입니다. 저는 사계절 내내 실외 공간 있어도 무조건 실내에만 주차합니다.

차량에 문제가 있어서 시동 안걸리는 경우

1. 배터리 방전

배터리 방전을 ‘고장 아닌데 시동 안걸리는 경우’에 넣어야 할지 여기에 넣어야할지 고민을 했습니다. 그 말은 즉, 배터리 방전이 차량 고장까지는 아니라는 의미인데요.

날씨가 추워져서 기온이 내려가면 휴대폰이 그런 것처럼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겨울 아침에 출근하려고 시동을 켜면 배터리가 방전돼 시동이 안 걸릴 때가 있죠. 기온뿐 아니라 본인의 부주의로 방전되기도 합니다. 실내조명, 전조등 같은 라이트를 안 끄고 주차하면 배터리가 밤새 방전됩니다.

시동 안걸림의 가장 큰 비율이 바로 이 배터리 방전 때문인데요. 이럴 땐 본인이 가입한 자동차 보험사 긴급출동서비스를 부르시거나 주변의 다른 차량의 배터리를 끌어오는 방법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긴급출동서비스를 부른다고 보험료가 오르는 건 아니니(횟수가 아마 정해져 있을 거예요) 안심하고 보험사를 부르세요.

그런데 보험사를 부르기 전에 해보실 게 있어요. 시동 안걸릴 때 혼자 간단히 해결되는 꿀팁 하나 알려드릴까요? 스마트키를 들고 스마트키로 시동버튼을 꾹 눌러보세요. 시동 걸릴 때가 있어요 그러면. 이건 저번에 중고차 탁송받았을 때 배터리 없는데 기사님이 이렇게 세 번 정도 시도해서 결국 시동거는 거 보고 배운 거랍니다.

그리고 배터리를 직접 따뜻하게 해서 녹여주는 방법도 있어요. 이것도 혼자 쉽게 할 수 있어요. 아래 영상으로 보여드릴게요.

배터리 살리기 셀프 2초 해결법(숏츠)

그리고 그거 아시죠? 배터리는 소모품입니다. 3년 정도, 주행거리 5만 킬로미터 정도 쓰면 배터리 자체를 아예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가 노후화 돼서 조금만 써도 배터리가 방전돼 버린다면 아예 배터리를 교체하세요.

배터리 방전 예방 꿀팁 영상(유튜브)

2. 점화플러그 불량

점화플러그에 문제가 있으면 시동이 안 걸릴 수 있습니다. 이것 역시 운전자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므로 보험사를 부르든지 해서 공업사에 가셔서 손을 봐야 합니다. 점화플러그도 소모품이기 때문에 교체 시기가 돼서 그럴 가능성이 크니 교체하세요.

3. 연료필터 교체

이것에 대해서는 제가 할 말이 많습니다. 제가 이런 적이 있거든요. 시동이 처음부터 안 걸린 건 아니었고 걸리긴 했는데 몇 미터 못가서 계속 꺼져버리더라고요.

이것 때문에 공업사를 네 군데가 돌았는데(가는 곳마다 200만원 든다고 덤탱이 씌워서) 결국 정직한 공업사를 찾아가서 연료필터 교체를 오래 안해줘서 그렇다는 걸 알고 10만원 주고(국산차는 더 저렴함) 교체해서 너무 잘 타고 다닙니다. 이 얘기 푼 포스팅 아래에 붙일게요.

연료필터 교체로 시동꺼짐 해결 후기

4. 스타트모터 고장

스타트 모터에 문제가 있어도 시동이 안 걸립니다. 시동은 안 걸리는데 헤드라이트도 켜지고 오디오 등 전자기기는 모두 정상 작동되는 상황이라면 스타트모터 고장을 의심해보실 수 있습니다.

5. 퓨즈 단락 문제

​연료탱크의 기름을 엔진으로 공급해주는 연료펌프의 선이 끊어지면 시동이 안 걸릴 수 있어요. 이럴 땐 엔진룸을 열고 이 연료펌프 퓨즈를 교체해주면 시동이 걸립니다. 역시 카센터에 가야겠죠.

6. 솔레노이드 스위치 불량

솔레노이드 불량은 사실 저도 잘 모르는데 부분인데 자료조사 하면서 알게 됐습니다. 일반인이 점검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하니, 정비소에 가셔서 점검 받으셔야 하겠습니다.

7. LPG 차량 스위치 OFF

​만일 LPG차량을 타시는 운전자라면 스위치 문제일 수도 있어요. 시동을 끌 때 LPG 차단 스위치를 켜고 잔류 가스를 차단해야 라인이 결빙돼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 지금까지 자동차 시동 안걸릴때 원인을 알아보고 대처법도 말씀드렸습니다. 생각보다 원인이 정말 다양하지 않나요? 그리고 생각보다 별 문제 아닌 경우가 많아서 간단히 해결 가능하지 않나요?

특히 겨울철에 추워지면 시동 안걸림 현상이 잘 일어나니까 공간만 있다면 무조건 실내주차 하세요. 아침에 차 탈 때도 따뜻하고 좋잖아요.(저희 아파트는 겨울에 자리 경쟁이 심해요ㅠㅠ)

덜덜덜 자동차 소음 종류에 따른 문제

1 thought on “자동차 시동 안걸릴때 시동거는법… 시동 안걸림 원인 12가지”

  1. 참으로 갈급한 자에 샘물같은 블로그입니다. 방금 자동차에 모든 전기도 들어오고 시동을 켜는데 달달달 소리만 내고 부팅이되지 않았습니다.가입한 현대화재에 연락 서비스차가 출동, 배터리 이상 없음,난감, 17년을 타고다닌 차가 고장한번 없었는데,5일전 카센트에가 엔진오일교체때 오일필터를 제되로 장작하지 않았는지,교체를하지 않았는지,오일교체하고 약 300미터 주행 5일간 주차후 시동을 켜니 달달달.오일필터서 발생한 문제인지,휘발유 펌퍼 모타고장인지,아니면 다른 ᆢ

    응답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