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홀드 기능 주차 사용법-중립주차 시 해제…치명적 단점
예전 차에는 없지만 요즘 차에는 다 있는 기능, 바로 오토홀드 기능인데요.
자동차를 비롯해 기계란 것은, 시간이 갈수록 발전하고 업그레이드 되는 게 정석이지만 가끔은 별 필요가 없는데 첨단을 자랑하기 위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능을 위한 기능인 거죠.
오토홀드가 어쩌면 그런 기능이 아닐까 저는 생각합니다. 그 이유를 말씀드릴 테니, 읽어보시고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이 기능을 끄고 운전하시는 게 더 편리할 수 있습니다.
오토홀드 기능
오토홀드(Auto Hold)는 정차 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지 않아도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해 주는 기능입니다.
만일 빨간 신호등으로 바뀌었다면, 보통은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해서 밟고 있어야 하죠. 하지만 오토홀드 기능이 활성화 돼 있으면 한번 브레이크 밟고 차를 멈췄으면 이후에는 발을 떼도 그대로 차가 멈춰 있습니다.
다시 주행하고 싶으면 엑셀을 밟으면 됩니다.
오토홀드 사용법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자동차의 기어봉 혹은 전자식 변속 다이얼 아래에 Auto Hold(오토홀드)라고 영어로 적힌 버튼이 있습니다. 누르면 켜지고, 다시 한번 누르면 꺼지는 식입니다.
오토홀드가 켜지면 계기판에 AUTO HOLD라고 뜹니다. 그럼 오토홀드가 활성화 중인 것입니다. 오토홀드를 끄면 계기판 표시등도 사라집니다.
오토홀드 주차
오토홀드가 켜져 있으면 주차할 때 아주 불편합니다. 차를 주차할 때 go와 stop을 반복해가면서 하잖아요. 후진했다가 앞으로 뺏다가 다시 갔다다 왔다가, 이렇게 주차하는데 차가 자동으로 멈추기 때문에 매번 가속 페달을 밟아야만 움직인다고 생각해보세요.
확실히 불편합니다. 그러므로 주차를 하실 때는 오토홀드 기능을 해제해야 편리합니다.
오토홀드 중립주차 시 해제
특히 이중주차를 하기 위해 중립주차를 할 때는 오토홀드를 반드시 해제해야 합니다. 오토홀드가 켜진 채로는 아무리 N단에 기어를 놓고 중립주차를 해도 차가 꿈쩍도 하지 않습니다. 오토홀드가 on이 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사이드브레이크가 걸리기 때문이죠.
차를 뒤에서 밀었을 때 밀리게끔 하려면 반드시 오토홀드를 끈 후 중립주차를 설정해야 합니다. 오토홀드 기능이 있는 차량의 중립주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오토홀드를 해제하고 주차한다.
2. 기어를 P에 두고 시동을 끈다.(오토홀드 OFF 다시 확인)
3. 브레이크를 밟고 기어를 N으로 돌린다.(다이얼 식은 N으로 돌린 후 2~3초 기다리면 바뀜)
4. 계기판에 ‘N단으로 전환됐습니다’ 문구가 뜨면 성공.
오토홀드 장점
1. 운전 피로도 감소
오토홀드의 가장 큰 장점은 다리 아픔과 같은 운전 중의 피로도를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시내주행할 때 신호대기가 자주 걸리잖아요. 그때 브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지 않아도 되니까 오토홀드를 사용하면 다리가 덜 아프겠죠. 그리고 물건 떨어졌을 때 쉽게 주울 수 있어서 좋겠죠?
2. 연료 절약
참고로, 오토홀드와 오토스탑 기능을 함께 사용하면 정차 시 낭비되는 연료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데, 이건 본인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오토스톱은 정차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는 기능인데요, 이게 배터리만 많이 닳게 하고 연료절약에 별 도움 안 된다는 주장도 많아요. 저도 시동켜면 디폴트 값으로 켜져 있는 오토스탑 기능을 항상 끄고 운전해요.
3. 차량 밀림 등 사고방지
또다른 오토홀드 기능의 또 다른 장점은 오르막길 주행 시 브레이크를 세게 힘줘서 밟지 않아서 차량이 뒤로 밀리는 걸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안정감 있게 운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오토홀드 단점
1. 주차 시 불편함
오토홀드는 단점이 다소 치명적입니다. 앞서 주차할 때 조금씩 가고 서고를 반복하면서 주차 수정할 때 불편하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게 가장 큰 단점이 되겠습니다.
2. 민첩성 약화
또 다른 단점은 차를 기동력 있게 운전하기 힘든 점입니다. 오토스톱도 제가 이래서 안씁니다. 옆 차선으로 빠르게 들어가야 할 때 멈춰 있다가 가려면 안 그래도 기동성이 떨어지는데 오토홀드나 오토스톱이 켜져 있으면 더 차가 굼떠집니다. 민첩하게 대처할 수가 없죠.(속 답답한 게 더 단점)
3. 사고대처에 취약
긴급상황일 때는 특히나 차를 재빠르게 제어해야 하는데 오토홀드 기능이 켜져 있으면 재빠르게 컨트롤 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4. 내리막길에서 위험
내리막길 주행 시에도 단점이 드러납니다. 경사로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밟아서 속도를 낮춰주잖아요. 그런데 오토홀드 때문에 차가 멈추면 다시 엑셀을 밟아서 차를 움직이게 해야 하는데 가속 페달이 내리막에서 잘못 밟으면 속도가 더 붙어서 위험합니다. 이쯤되면 솔직히 오토홀드 기능은 안 쓰는 게 낫다고 보여지네요.
저는 절대 안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