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변속기 차량 추천… 국산차- 외제차… 수동의 장점은?

수동변속기 차량 추천… 국산차- 외제차… 수동의 장점은?

요즘은 수동 변속기어 자동차가 거의 출시되지 않습니다. 원래 수동기어를 쓰던 버스나 트럭 같은 대형차마저도 요즘은 자동변속기를 쓰죠.

그럼에도 운전의 맛, 손맛을 그리워하는 분들이 수동변속기 차량을 찾으시는데요. 오늘은 수동변속기 차량의 원리, 종류, 장점 및 단점, 운전법, 현재 판매 차량(외제차 포함) 알려드릴게요.

수동변속기 원리

수동변속기란 스틱기어라고도 부르며, 자동변속기와 반대입니다. 자동변속기는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알아서 변속이 되지만, 수동변속기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속도를 스스로 판단하여 직접 기어를 조작합니다.

수동변속기는 열차에 주로 채용되는 변속기인데요, 원리는 속도나 엔진 회전 수에 따라 변속 레버를 운전자가 손으로 바꾸면 변속되는 원리입니다.

수동변속기 종류

1. 섭동 기어식: 어 자체를 움직여서 상대기어에 물리는 방식

2. 상시 물림식: 기어의 톱니끼리 갑자기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끼리는 상시로 물려 있고, 동시에 각 출력기어 사이 도그클러치가 맞물리면서 출력축에 힘을 전달해서 변속되는 방식

수동변속기 장점

수동변속기의 장점은 기계적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운전의 재미, 급발진 사고에 안전하다는 것 말고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세상이 작은 장정이라 말해도 내게 큰 장점으로 다가온다면 수동변속기 추천입니다.

수동변속기 단점

수동변속기는 동력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내구성도 좋지 않고, 유지 비용도 많이 듭니다. 자동변속기의 장점이 많다 보니 추억속으로 멸종하고 있습니다.

수동변속기 운전법

1. 출발(평지): 부드럽게 클러치 떼기 + 부드럽게 엑셀 밟기

2. 출발(언덕길): 반클러치 + 조금 세게 엑셀 밟기

3. 변속시점
– 가속할 때: 엔진음이 좀 시끄럽다 느껴질 때
– 감속할 때:
(감속 후 재출발) 브레이크를 다 밝고 + 해당 속도의 기어 변속 후 출발
(감속 후 정차) 브레이크를 다 밟고 + 20km 이하엥서 클러치 밟기

수동변속기 차량 추천… 국산차

2025년 현재 국내에서 구매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 차량은 3대입니다.

현대차 아반떼 N
도요타 GT86
로터스 에미라 3.5

이 중 국산차는 현대차 아반떼N 뿐입니다.

수동변속기 외제차

도요타, 로터스 에미라는 수입차량인데요. 수동변속기 외제차를 몰고 싶다면 이 차들을 구입하셔도 되지만, 중고차로 수동변속기 외제차를 사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포르쉐부터 해서 많습니다.

알파기어 카케어 브러쉬 페인트

변속기 미션 관련 다른 글들

오토미션 고장증상... 수리비용 너무 비싸- 교체 말고 방법 있나

미션오일 교체비용 비싼 건 맞지만... 교환 안하면 벌어지는 비극

CVT미션 교체비용... 내구성- 수리비용 단점- 고장증상- 교체 주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