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오일 교체 안하면…브레이크액 교체비용 저렴하게 하는 법

브레이크오일 교체 안하면…브레이크액 교체비용 저렴하게 하는 법

차에는 여러가지 오일이 들어가는데, 그 중에서도 엔진오일과 브레이크오일이 가장 중요한 두 가지로 꼽히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엔진오일은 신경 써서 교체하면서 브레이크오일은 덜 신경쓰는 편 같습니다.

브레이크오일이 이렇게 중요했어? 아마 이 글을 다 읽고 나시면 정신이 번쩍 드실 겁니다. 교체비용 정보도 알려드릴게요.

브레이크오일이란

브레이크오일이라고 더 많이 부르지만 브레이크액이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우리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액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에 유압이 전달돼서 브레이크 디스크 등이 회전하고 비로소 제동이 이뤄집니다. 브레이크 작동 과정에서 생각보다 큰 역할을 하는 게 브레이크오일인 거죠.

브레이크 오일 부족 현상-누유 원인

브레이크오일 누유가 일어나면 당연히 오일 부족 현상이 생기겠죠. 그럼 누유는 대체 왜 생길까요?

브레이크 패드와 라이닝이 마모되면 누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행거리가 누적됨에 따라 자연히 오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브레이크액이 원래 수분에 민감해서 수분이 섞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브레이크액 누유는 차를 심하게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누유 감지 즉시 차량을 세우시고 긴급출동서비스로 정비소에 가셔야 합니다. 계속 주행하면 차에 안 좋습니다.

브레이크액 점검 방법-누유 확인법

그럼 누유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정비소에 가지 않고도 셀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브레이크액이 누유되거나 부족해지면 계기판에 느낌표 모양의 브레이크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2.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평상시와 달리 밀리는 느낌이 들면 누유를 의심하면 됩니다.

3. 내 눈으로 직접 오일 잔량을 확인하고 싶다면 보닛을 열어보시면 됩니다. 엔진룸을 열면 브레이크 리저브 탱크가 있습니다. MAX와 MIN 표시가 돼 있는데 브레이크오일이 그 사이 중간에 위치해 있으면 정상이고, 수위가 낮으면 누유가 발생한 겁니다. 수분테스터를 이용해 수분함량을 체크할 수도 있습니다.

보닛(본네트) 여는 법

브레이크액 셀프 확인법(유튜브 영상)

브레이크오일 교체 안하면

브레이크액 교체 안하면 브레이크 밀림 현상이 나타납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밀리면서 제동 거리가 길어지는 거죠. 마치 스펀지가 푹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어서 브레이크 밀림 현상을 스펀지현상이라고 일컫습니다.

물론 스펀지현상의 원인을 거슬러 올라가면 브레이크오일 누유 전에 패드 마모가 있었죠. 따라서 단순히 브레이크오일 교체한다고 스펀지현상이 잡히는 게 아니고 패드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원인을 정확히 찾아야 해요.

페이퍼록 현상

브레이크 오일은 알콜 성분이 포함돼 있어서 이 알콜이 습기를 끌어당깁니다. 시간이 지나면 수분함유량이 많아지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이죠. 수분량이 많아지면 브레이크 패드에 압력이 백퍼센트 다 전달되지 않아서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이걸 페이퍼록이라고 합니다.

페이퍼록 현상은 패드 마모가 아니라 단지 수분함량이 높아져서 일어나는 것이기에 브레이크액을 교환주기에 맞게 제때 교체해주는 것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실 브레이크밀림 현상은 원인이 브레이크 패드 마모, 오일 누유 외에도 4가지 정도가 더 있어요. 제가 정리해놓은 6개 원인 포스팅 붙일게요.

브레이크 밀림 원인 6가지

브레이크 오일 교환주기

브레이크액은 소모품입니다. 교체주기는 보통 3~6만km 또는 2년입니다. 자동차 제조사별로 명시하는 교체주기와 브레이크액 종류가 정해져 있으니 매뉴얼을 참고하시거나 정비소 가셔서 그에 맞게 교체해줘야 해요.

브레이크오일을 교체한다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브레이크 오일 보충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다르지만요.

브레이크오일 색깔

교환주기가 아직 안 됐어도 오일 색깔을 확인해보시고 갈색으로 변해 있으면 교체가 필요합니다. 또한, 브레이크오일의 수분함량이 3% 이상이어도 교환 권장하는 바입니다.

브레이크오일 DOT4

앞서 브레이크오일은 제조사별로 권장하는 종류가 다르다고 말씀드렸죠. 대표적인 제조사로 현대자동차는 DOT-4, 기아자동차는 DOT4 오일사양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교체주기는 5만km로 명시하고요.

DOT 뒤의 숫자가 높을수록 비등점이 높다는 의미인데 DOT3, DOT4 등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양입니다. DOT5는 고성능 스포츠카 또는 경주용 자동차에 주로 사용합니다.

브레이크오일 교체비용

브레이크액 교체비용은 엔진오일보다 비싸거나 비슷합니다. 브레이크오일 자체는 2만원 정도로 저렴하지만, 만일 단순교환이 아니라 누유로 인한 수리라면 고압호스 7만원, 실린더 18만원을 같이 교체해야 할 수 있어요. 온라인에서 브레이크오일 직접 구매하셔서 공임나라에 가져가서 공임비만 내고 교체하시면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내 차 수명 늘려주는 정보(이미지 클릭)

브레이크 밀림 증상-스펀지현상... 수리하려니 원인만 6가지

미션오일 교체비용 비싼 건 맞지만... 교환 안하면 벌어지는 비극

자동차 타는 냄새... 탄 냄새에도 종류가 있다-고장 부위 달라

타이밍벨트 교체비용 천차만별인 이유... 비싼 차량 따로 있다

중고차 살때 체크 리스트... 돈덩어리 교체 부품 2가지 공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