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타이어 공기압 리셋 재설정-적정 공기압 확인-경고 메시지 끄기
벤츠 차량 타이어 공기압을 재측정 즉 재설정하여 리셋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방법을 모델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e300 e350 s500 등 다양한 모델들에 적용되는 공기압 표시 리셋 방법부터 적정 공기압 확인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벤츠 타이어 공기압 확인
먼저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느낌표 모양의 이 경고등이 뜨면 타이어 공기압에 문제가 생겼거나 보충이 필요한 상황이니 먼저 차량의 공기압을 체크해야 합니다.
TPMS라고 불리는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이 벤츠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을 계기판에 표시해줍니다. 운전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 수치를 확인하고 각 바퀴의 공기압 수치 균형까지도 알 수 있습니다.
벤츠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점등 이유
벤츠 차량은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자주 뜨는데요. 그 이유는 tpms 타이어 압력 센서가 매우 예민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미미한 공기압 변화에도 경고등을 띄우기 때문에 불편을 느끼는 운전자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이렇듯 공기압이 변하는 이유는 외부 기온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가 팽창하거나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소보다 짐을 많이 실어서 적재량이 많거나, 요철을 심하게 지났을 경우도 타이어 압력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니 경고등이 뜬다고 무조건 타이어 공기압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 기억하시고, 이 경고등이 일시적인 압력 변화 때문인 건지 타이어가 손상되거나 마모되어서 그런 건지 알아야 합니다.
벤츠 타이어 공기압 리셋 재설정
단순한 압력 변화 때문에 경고등이 뜬 건지, 타이어에 정말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타이어 압력을 재측정한 후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계기판에는 이미 “타이어 압력 점검 후 압력 표시장치 재시작(Check tyre pressure then restart run flat indicator)”이란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타이어 공기압을 재측정 즉, 재설정 리셋하는지 그 방법을 벤츠 모델별로 알려드릴게요.
E / S / CLS 모델
1. 핸들 왼쪽 패드에서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상단에 메뉴가 나오고 검은 터치패드를 왼쪽으로 스와이프하여 서비스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2. 아래로 내려 타이어 항목으로 들어가고 한 번 더 내려 확인 누르면 “현재 압력을 새로운 기준값으로 적용할까요?”라는 문구가 나오고, OK를 눌러 완료.
C / GLC 모델
1. 키패드에 뒤로가기 혹은 홈버튼을 누르고 메뉴를 아래로 내려 서비스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2. 타이어 압력 항목에서 화살표를 아래로 내리고 ok 버튼을 누르면 “현재 압력을 새로운 기준값으로 적용할까요?”라는 문구가 나오고, OK를 눌러 완료.
A / B / CLA / GLA / GLE 등 모델
1. 키패드의 좌측 화살표를 누르면 계기판 하단에 메뉴가 나오고 서비스 항목으로 들어가 타이어 압력을 누릅니다.
2. 아래로 화살표를 눌러 오케이 버튼을 누르면 “현재 압력을 새로운 기준값으로 적용할까요?”라는 문구가 나오고, OK를 눌러 완료.
만일 타이어 압력을 리셋했음에도 또 경고등이 뜬다면 공식서비스 센터나 가까운 정비소 혹은 타이어 전문업체에 가서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다만, 벤츠 오너들의 공통된 의견이 내부 센서 오류가 종종 발생해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타이어 공기압 메시지가 오류로 뜬다고 하네요. 내부센서 오류라기 보다는 제 생각엔 앞서 언급했듯 온도 등에 따라 공기압의 일시적인 변화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벤츠 타이어 적정공기압
벤츠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주유구 뚜껑 혹은 운전석 문짝을 보시면 스티커로 붙여져 있습니다. 벤츠 모델이 상당히 많고, 모델별로 적정공기압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본인 차량의 표기를 직접 확인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자동차 메뉴얼이 있다면 거기에도 적혀 있습니다.
고속도로 사고의 대부분이 타이어 문제로 일어난다고 하네요. 타이어로 인한 사고는 사망률도 높아고 하니, 공기압 가볍게 여기지 마시고 잘 관리하셔서 안전운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