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막길 중립 연비.. 의미 없음- 엔진브레이크 또는 저단기어 해야

내리막길 중립 연비.. 의미 없음- 엔진브레이크 또는 저단기어 해야

여러분은 내리막길 운전 어떤 식으로 하세요? 사람마다 방식이 조금씩 다를 것 같은데요. 웬만하면 가속페달 밟지 않으려고 하는 분들이 많으시죠.

오늘은 내리막길 주행 시 차 부품들에 무리 가지 않고, 연료소모 또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특히 내리막길에서 중립 기어 넣는 게 왜 안 좋은지도 알려드릴게요.

내리막길 기어 중립 연비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N(중립)으로 두시는 분들은, 그 이유로 연비 절약을 꼽습니다. 기어를 N에 두면 연료 소모가 줄어든다는 생각인거죠.

하지만 내리막에서 중립 주행을 하면 오히려 기름을 더 사용할 수도 있단 주장이 많습니다. 그 근거는 이따가 말씀드릴게요.

내리막길에서는 N단이 아닌 D단을 유지한 채로 엑셀에서 발을 떼는 엔진브레이크 방식이 가장 좋습니다. 어차피 내리막길은 엑셀을 안 밟아도 저절로 속도가 붙기 때문에 너무 빠를 때만 풋브레이크를 살짝 밟아주면서 엔진브레이크로 내려가야 합니다.

이렇게 운전했을 때 악셀과 브레이크를 번갈아 밟으며 내려오는 것보다 연비가 절약됩니다. 하지만 연비가 전부는 아니죠. 이 방식은 내리막길에서 차에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즉, 내리막에서 중립기어로 내려오거나 엑셀과 브레이크를 많이 밟으면 변속기 즉 미션, 엔진 관련 부품에 무리를 줍니다.

또한 내리막길에서 중립을 놓으면 앞에 차가 멈춰 있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브레이크 제동력이 떨어집니다. 즉각적인 반응이 안 일어나고 제동이 오래 걸리죠. 엔진브레이크를 같이 해줘야 제동력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내리막길 저단기어

엔진브레이크 사용하지 않으려면 1단 기어 사용도 괜찮습니다. 핵심은 D단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D단에 놓고 엔진브레이크로 기어를 자동으로 낮추든, 수동으로 저단기어를 넣든 해야 합니다.

엑셀을 밟으시면 결국 브레이크도 함께 밟아야 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마찰열로 인한 휠 실린더, 브레이크 파이프 등 부품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심하게 자꾸 밟으시면, 브레이크 오일도 적정량이 남아 있는지 점검하셔야 해요. 참고로 오일은 온라인에서 구입해서 공임나라에서 공임비만 주고 교환하는 게 가장 저렴합니다. 저는 쿠팡에서 사는데요, 쿠팡 1위 제품 링크 붙여드리겠습니다.

브레이크 오일 쿠팡 인기상품

드라이브 기어를 놓은 채 엔진브레이크로 내리막길을 내려오면 연료가 자동으로 차단되니까 안심하세요. 차에는 이 기능이 심어져 있기 때문에 N에 놓지 않아도 연비 줄일 수 있습니다. 오히려 N단 주행이 기름을 더 사용하는 건 연료자동차단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타력주행 의미

타력주행이란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해서 동력을 끊고 자동차의 남은 힘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만일 신호등이 빨간불로 바뀐 것을 봤을 때 속도를 낮추기 위해 브레이크를 밟는 대신 중립으로 놓고 탄력주행을 하는 거죠.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타력주행 하지 마시라고 다시 말씀드립니다. 기어를 N에 놓고 내려가는 타력주행은, 이 글 초반에 말씀드렸듯 차 수명에 좋지 않고 연비에도 하등 도움이 안 됩니다.

엔진브레이크 사용법

타력주행을 하지 않고 엔진브레이크로 조정해야 합니다. 액셀에서 발을 뗀 순간 엔진브레이크가 작동됐다고 보통은 생각하죠. 하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발 뗀다고 엔진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건 아닙니다.

발을 떼서 일정 속도 이하로 떨어져야지만 작동합니다. 그리고 모든 차가 되는 것도 아니어서, 기어 단수를 낮춰주는 기능이 있는 차만 엔진브레이크라고 말할 수 있어요.

기어 단수가 내려가면 rpm이 올라가고 속도는 줄어듭니다. 엔진브레이크가 작동한다는 건 기어 단수가 낮춰졌다는 의미인데, 이미 엔진브레이크 하기 전에 단수를 낮춘 상태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쓰게 되면 rpm이 급격히 치솟습니다. 미션에 무리가 가죠.

미션이 비쌉니다. 수리나 교체할 때 큰돈 들죠. 미션 고장증상 및 수리비에 대해 제가 앞서 썼던 글 붙일게요.

오토미션 고장증상... 수리비용 너무 비싸- 교체 말고 방법 있나

제가 어제 있었던 일인데요. 언덕에 있는 주차장에서 시동을 걸고 저속으로 내리막을 내려오면서 엔진브레이크를 했죠. 근데 차가 윙 하고 시끄러운 소리를 막 내면서 알피엠이 치솟았고, 정작 차는 앞으로 안나가는 거예요. 거의 제자리. 너무 당황스러웠습니다.

본능적으로 차에 엄청 무리가 가고 있다는 느낌이 딱 들더라고요. 이유를 분석해보면, 시동 걸고 저속인 상태에서 바로 엔진브레이크까지 걸어서 그런 것 같아요.

보너스 글

사이드브레이크 채우고 주행... 정비소 가서 이 부품 점검할 것

엔진 떨림 현상 원인 7... 차량 엔진부조 진동 잡기- 수리비 얼마

차량 쏠림 현상... 핸들 돌아감- 한쪽으로 쏠리는 이유 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